“배달료에 예민한 사람이 많아서 소상공인 다 죽겠어요”

By 이서현

코로나 시기, 배달음식은 집에서 머물러야 하는 이들에게 큰 위로가 됐다.

배달시장이 전례 없는 호황을 맞으면서 배달료도 하루하루 치솟았다.

시키는 사람 입장에서는 아무리 맛있는 집이라도 배달비 부담이 커지면, 주문 자체를 포기하게 마련이다.

온라인 커뮤니티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한 자영업자가 쓴 ‘와 사람들 배달비에 엄청 예민하구나’라는 제목의 글이 공유됐다.

가게를 운영하는 글쓴이는 “배달료가 너무 부담돼서 4500원으로 했더니 매출 타격이 엄청크다. 심지어 배달료 가지고 전화로 뭐라고 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라며 “배달료에 예민한 사람 많아서 소상공인 다 죽겠다”라고 토로했다.

연합뉴스

이는 실제 수치로도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배달앱 3사(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의 10월 월간 이용자 수는 전년 같은기간 대비 11% 감소(3391만→3023만명)했다.

쿠팡이츠의 월간 이용자 수는 1년 사이 33%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요기요도 같은 기간 776만명에서 667만명으로 14% 줄었고, 배달의민족은 2070만명에서 1992만명으로 3.8% 감소하는 등 배달앱 3사가 일제히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연합뉴스

이런 상황에서 라이더유니온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배달플랫폼노조로 구성된 ‘쿠팡이츠 공동교섭단’은 카타르 월드컵에서 한국과 우루과이 경기가 열린 지난달 24일, 기본 배달료 인상은 요구하며 파업했다.

배달앱

하지만 배달플랫폼업체들도 배달료 인상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급성장한 배달 시장이 침체기로 돌아선 데다 자영업자인 음식점주에게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배달료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여론도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럼, 정말 최애 맛집이라 하더라도 사람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배달비는 얼마까지일까.

온라인 커뮤니티

이 질문에 대부분 누리꾼은 3000원~4000원 정도를 꼽았다.

5천원 이상을 낼 수 있다는 이들은 “5천원이 마지노선. 그 이상은 괘씸함” “찐 맛집이면 6천원까지 가능” “웨이팅해야 겨우 먹을 수 있는 집이면 1만원까지 가능” 등 나름의 이유를 댔다.